반응형

구독경제101 2

구독 사업은 결국 미래에는 000 된다 / <구독경제 101> 스노우볼랩스 편집부

구독 모델이 어떻게 진화하게 될지 상상해보자 ​ ​구독경제 101소유는 경제의 핵심이다. 비싼 제품을 나눠서 소유하는 ‘공유경제’를 시작으로, 필요한 만큼 사용한 만큼 쓰는 ‘구독경제’가 등장했다. 우유, 신문 배달 등이 구독의 시작이었고 지금은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서비스 구독까지로 확대됐다. 구독경제는 소비자의 시간과 비용을 줄여준다. 기업은 안정적이고 반복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모두에게 이익을 줄 수 있는 이 비즈니스 모델은 점차 종류가 다양해졌다. 사실 우리에게 구독경제는 너무나 익숙하다. 넷플릭스를 보고, 음악을 듣고, 음식을 먹고, 세탁을 하는 것까지 우리의 삶과 구독경제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 세계의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구독 비즈니스 모델을 토대로 새로운 사업 파이프라인을 구..

앞으로의 사업 영역에서 중요한 키워드는 뭘까? / <구독경제101>

구독경제 101구독경제101 / 스노우볼랩스 요즘 구독경제에 관심을 슬쩍 가져 책을 살짝 들춰보았다. 읽은 부분을 요약하고 내것으로 만들기 위해 쓰는 한 페이지 공유경제가 비싼 제품을 나눠 쓰면서 발생하는 이익에 기반을 둔다면, 구독경제는 필요한 만큼 쓰는 효율성에 근거를 뒀다. 친근한 종이 신문, 우유 배달에서 시작한 구독경제는 이제 갈래를 뻗어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디지털 자산이 아닌 실물 자산에 기반을 둔 구독 비즈니스 모델은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도 주시하고 있다. 책, 면도기, 화장품, 술, 수건, 보석, 자동차, 집 등 구독 아이템은 종류와 규모를 특정 지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왜 지금인가? 오래된 비즈니스 모델인 구독은 왜 다시금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는 것일까? -IT기술의 발전 -..

반응형